뇌는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실질적으로 우리 몸을 지배하고 조절하는 뇌에 문제가 생기면 급격하게 삶의 질을 파괴하고 특히 그 주변인들의 정상적인 생활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억력 향상과 뇌를 건강하게 지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1. 외우지 말고 이해하기
인간의 뇌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주변환경에 적응해 살아가기 위해 진화해왔습니다.
주변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하면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뇌는 그래서 단순히 암기한 것보다는 이해한 것에 대해 특히 잘 기억합니다.
뭔가를 배운다면 이것을 왜 배우고 공부해야 하는지 뇌에게 잘 설명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양 손 사용하기
뇌는 서로 비슷하게 생긴 오른쪽 뇌와 완쪽 뇌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신체로부터 전달되는 대부분의 정보가 오른쪽과 왼쪽으로 서로 교차되어 전달됩니다.
왼손이나 왼쪽다리에서 온 정보는 오른쪽 뇌로, 오른쪽 손에서 온 정보는 반대로 가는 식입니다.
양손을 사용한다면 뇌를 균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글씨를 쓸 때 오른손을 사용하더라도 칫솔질은 왼손으로 하는 것입니다.
넘쳐나는 정보의 바다속에서 알아야 할 것이 너무 많아 한쪽 뇌만으로는 부족합니다.
3. 새로운 것 먹기
늘 먹던 음식보다 한번도 먹지 못했던 음식, 예를 들어 인도나 태국음식 등에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
새로운 음식은 뇌에 새로운 자극을 줘 일상생활에 지쳐있는 머릿속을 상쾌하게 만들어줍니다.
4. 연결시켜 기억하기
정보를 얻고 저장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조합입니다.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좋게 하려면 배우는 것들 사이의 연관성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이름을 외울 때는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이나 그 사람을 처음 만난 장소, 그 장소에서 들었던 음악 소리 등과 연결시켜 보는 것입니다.
새정보와 이미 알고 있던 정보 사이에 연결고리가 생겨 또 다른 정보가 생겨나게 됩니다.
5. 일상적인 것에 반대하기
우리의 뇌는 변화를 즐기며 틀에 박힌 것은 싫어합니다.
단조롭고 변화가 없다는 것은 뇌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지 못한다는 얘기입니다.
뇌는 일상적이고 변화가 없는 정보는 소음처럼 여기고 기억하지 않습니다.
가령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읽는 새로운 시도를 해봅니다.
첫번째 책을 30분 동안 읽다가 이어서 다른 책으로 넘어갑니다.
교과서를 읽다가 시집이나 재미있는 잡지를 읽어봅니다.
이렇게하면 뇌가 집중력을 잃을 것 같지만 오히려 반대입니다.
6. 잠자기 직전에 공부하기
꿈은 아직까지 그 본질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한 동물 실험은 꿈이 우리가 전에 경험하거나 배운 것이나 남겨 둔 문제들을 다시 기억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만듭니다.
잠자기 전, 꿈꾸기 전에 외운 것이 더 잘 기억되는 이유입니다.
7. 텔레비젼 오래 보지않기
텔레비젼을 오래 시청하면 뇌에 좋지 않습니다.
텔레비젼은 한꺼번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줘 그 정보를 스스로 처리할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오랫동안 텔레비젼을 보게되면 뇌가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문제는 이것이 반복되다보면 나중에 뇌가 새로운 정보를 능동적으로 얻고 처리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입니다.
앞으로 2~3일 동안만이라도 텔레비젼을 켜지말고 생활해보시길 바랍니다.
처음에는 견디기 힘들겠지만 얼마 지나면 전과는 다르게 머리가 맑아진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8. 여행하기
여행은 뇌를 재충전하고 깨어있게 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국적인 곳을 여행할수록 풍부한 자극을 경험하게 돼 더욱 좋습니다.
여행은 뇌의 환경이 결정되는 12세 전후에 하면 좋습니다.
자녀들과 여행을 하면서 가족간의 추억도 쌓고 뇌건강까지 얻으실수 있습니다.
새로운 장소나 다양한 인종, 이국적인 음식들을 접하면 뇌의 활동에 도움이 됩니다.
'건강꿀팁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왼쪽 뒷머리 통증 원인과 예방습관 (0) | 2017.05.21 |
---|---|
곰보배추 먹는법 5가지 (0) | 2017.05.20 |
목에 가래빼는법 4가지 꿀팁 (0) | 2017.05.16 |
중풍 전조증상과 예방방법 알아보기 (0) | 2017.05.13 |
껍질째 먹는 과일과 채소 13가지 (0) | 2017.05.04 |